자기장(magnetic field)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강자성체에 가해지는 자기장의 방향으로 자화되며, 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자성이 그대로 유지 기본 구조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강자성체들 사이에 절연체를 삽입 하부 강자성체: 고정층, 자화 방향이 고정되어 있음 절연체: 터널링 자기저항 현상이 일어나도록 얇게 제조 상부 강자성체: 기록층, 전류 인가 방향에 따라 자화되는 방향이 결정됨 데이터 저장 그림 (a)와 같은 방향으로 전류 인가 상부 및 하부 강자성체의 자화 방향 일치 : ‘0’ 저장 그림 (b)와 같은 방향으로 전류 인가 상부 및 하부 강자성체의 자화 방향이 반대 : ‘1’ 저장 데이터 읽기 두 강자성체들 간에 전류 인가 강자성체들 간의 자화 방향이 동일 ..
강유전체의 특성을 이용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강유전체: 전기를 인가하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도 전기적 극성을 띠고 있는 물질 플럼범 지르코늄 티타늄 산화물(PZT)을 이용하여 제조 양(+) 전극 및 음(-) 전극에 전기를 인가하면 전극의 위치가 바뀌며,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도 그대로 유지 데이터 저장 전기를 인가하지 않음 원래의 전극 유지 : ‘0’ 저장 전기 인가 전극 위치 변경 : ‘1’ 저장 데이터 읽기 기억 셀에 전기장(electric field)을 인가 감지되는 전하(electric charge)의 양에 따라 ‘0’과 ‘1’을 구분 읽기 동작 후에 셀의 내용이 지워짐 데이터 복구 필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t1tZ/btrKetQWIc5/7taeayecfD36aN3YoN1wk1/img.png)
1.절치에 비해 볼록, 5각형 2.절단연: 근심절단연, 원심절단연(길고, 경사 심함) 3.근심연: 비교적 곧고 원심연보다 길다 원심연: 둥글며 근심연보다 짧다 4.원심우각은 근심우각보다 큰 우각 5.근심우각은 원심우각보다 고위에 위치 1.순면보다 좁으며 치경부가 더욱 좁아진다 2.근,원심 변연융선, 설면결절,설면융선의 발육이 상악견치보다 약하다 1.삼각형모양, 원심면보다 넓다 2.순설경(7.5mm) > 근원심경(7.0mm) 3.접촉점: 절단 1/3 4.근심치경선만곡도: 2.5mm 1.근심면과 형태유사, 크기가 작다 2.접촉점: 절단과 중앙1/3의 경계부 3.원심치경선만곡도: 1.0mm 1.첨두의 위치: 근심에 치우쳐 있어 근심절단은 짧고 원심절단은 길다 2.근,원심길이(7.0m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245hq/btrKaxthQle/jxbMGfiajh5ykwWXu63eZk/img.png)
견치 1. 위치와 수 : 측절치의 원심, 상∙하악 2개씩 총 4개 2. 크기: 모든 치아 중 가장 긴 치아. 안면표정에 큰 역할(치관이 길고 첨두상) 3. 형태 ∙ 절단의 중앙부가 첨두상으로 돌출, 설면융선의 발육이 좋다. ∙ 변연융선, 설면결절은 매우 두툼 ∙ 치근은 굵고 긴 원추형, 단근치 1) 치관: 순면에서 볼 때 긴 5각형 ① 절단과 첨두: 근심절단이 원심절단보다 짧다 ② 순면: 높이가 긴 5각형 ③ 설면: 마름모꼴, 설면와가 얕다 ④ 접촉면: 풍융도는 근심면보다 원심면이 좋다 근심면은 긴 삼각형, 원심면은 짧은 삼각형 모양 2) 치근: 긴 원추형의 단근치, 긴 것 같은 느낌 3) 치경부: 순면의 치경선이 치근쪽으로 매우 볼록 4) 치수강: 견치의 외형을 닮아 방추형, 수실각 1개 1.절단연 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cEOG/btrJ80n4g3U/2IkC41Rwp3u1Rd9kbWK1IK/img.png)
유아기의 건강 WHO의 영·유아 건강에 대한 정의는 ‘영유아의 성장·발육이 저해되지 않고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태로, 단순히 질병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사회적으로 문제가 없는 상태’를 건강하다고 한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신생아기, 영아기, 그리고 유아기가 생리적·심리적·인지적 측면에서 일생 중 가장 현저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므로 영·유아 건강 간호의 목적은 최적의 성장발달을 위한 지지와 보호 및 건강능력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유아의 건강을 돌볼 때에는 영·유아는 성인에게 의존적인 존재이긴 하지만,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라 나름대로 생리적·심리적·사회적·정신적으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pWUI/btrJ74qX6c2/sVGftBWVxkshSFQMRHFRa0/img.png)
수면(睡眠)의 발달 수면은 보통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나눈다. 렘수면은 영어로 ‘Rapid Eye Movement(REM) sleep’이다. 안구가 빠르게 운동하고 있는 상태로 깨어 있는 것에 가까운 얕은 수면이 렘수면이다. 렘수면 동안에 꾸는 꿈은 눈에 보이는 듯이 선명하다. 한편 비렘수면은 영어로 ‘Non-Rapid Eye Movement(N-REM) sleep’이다. 비렘수면은 정말로 잠을 자는 시간으로, 잠의 깊이에 따라서 4단계로 나눈다. 신생아는 하루의 약 2/3 정도 잠을 자는데, 그중에 약 절반이 렘수면이다. 그림 1-10은 렘수면의 양이 나이에 따라 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보면 신생아에서 유아로 갈수록 전체적인 수면시간이 줄고, 렘수면시간도 준다. 이때 수면시간 감소분의 대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3PtI/btrKdRqEIxr/k8NK2HIpnGRnrKMCSkUTC1/img.png)
유아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기에 운동능력을 잘 발달시키면 평생을 살아가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유아의 운동능력 발달을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고, 억제시키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결과 유아의 운동능력 발달은 한두 가지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은 유아들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를 요약해서 정리한 것이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 유아들의 운동능력 발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장이고, 체중은 관련이 아주 적다. 4살이지만 5살과 체중이 거의 같은 아이와, 5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