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형용사 유형 AP6:형용사의 의미가 절을 사용하여 명료해 지는 경우이다. 1. a. She was not aware of the facts. b. She was not aware (of) how much her husband earned. c. She was not aware that her husband earned $50 a week. 2. a. They were anxious that you should return. b. They were anxious of your return. 3. a. Are you sure/ certain/ confident that he's honest. b. Are you sure/ certain/ confident of his honesty. 4. He's d..
제1 형용사 문형 AP1: easy, difficult, hard, safe, dangerous 1. a. It is easy to deceive John b. To deceive John is easy c. John is easy to deceive 2. a.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house. b. To find the house was difficult. c. The house was difficult to find. 1.2c)에서 외형상의 주어인 John과 The House는 심층적으로 동사의 목적어이므로 ‘반드시 목적어로 해석’하여야한다. 특수한 유형의 형용사가 용법과 문장 변형을 가르쳐야한다. Hornby는 동사의 목적어 뿐만아니라 전치사의 목적어도 가주어 it 자..
Complementizer: that, for I consider [(that) Mary will be a doctor]. I consider [(for) Mary to be a doctor]. I want [him to leave]. I want very much [for him to leave]. What I want is for John to leave. I tried to go. I tried [(for) PRO to go] I would prefer to leave. I would prefer [for you to leave]. [For Max to have been beaten] is barely credible. #Small clauses는 5형식인가 3형식인가? 1. AP 보어 a. She..
부사 보어의 인정 C. T. Onions, 1971, Modern English Grammar, edited by B. D. H. Miller, Routledge 문의 5형식 중에서 2형식과 5형식의 보어에서 문제점을 보인다. 2형식: S +V+C 5형식: S + V + O + OC Hornby는 부사를 보어로 인정하고 있지만 Onions를 비롯한 전통문법학자들은 보어로 명사와 형용사만을 인정하고 부사는 배제하고 있다. (A. S. Hornby, 1975. Guide to Pattern and Usage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He was walking slowly in the park. slowly-optional (1) 2형식: S +V+C의 보어 문제 a...
완전타동사 문형의 문제점 첫째, 동작동사(Dynamic verb)와 상태동사(Stative verb)를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완전타동사 문형에서 나타나는 동작동사와 상태동사의 이동에 대한 비문성을 설명할 수 없는 점이다. 동작동사와 상태동사는 의미론으로 통사론적으로 모두 구분이 가능한 각기 다른 종류의 동사이다. 의미적으로 동작동사는 change of state, 즉 상태의 변화를 초래하는 동사로서 실제 동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hit, kick, eat, drink등의 동사들이다. 상태동사는 동작동사와 달리 상태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동사로서 동사이지만 실제 움직임이 없는 like, have, think, possess등의 동사들이다. 통사론적으로는 동작동사와 상태동사의 구분은 이동을 허용하느냐 하지 ..
시계열 – 추세, 계절변동, 순환변동, 우연변동(불규칙변동) • 시계열자료 평활화 기법 – 이동평균법 : 단순이동평균법, 가중이동평균법 – 지수평활법 : 평활계수(α) 이용 – 시계열 분해법 : 해당 예측의 시계열을 추세와 계절변동으로 분해. 이를 통해 가법 및 승법적 시계열 분해법 실행 • 추세분석법 – 최소자승법에 의한 추세방정식 도출 – 추세방정식에 의한 예측치 산출 • 회귀분석법 – 원인변수 및 결과변수에 의한 인과형 회귀방정식 도출 – 원인변수에 의한 결과변수 예측 • 정성적 예측기법 – 델파이방법, 시장조사법, 패널동의법, 역사적유추법